봉암사 결사 60주년 기념법회 성료
1947년 청담, 성철, 자운스님 등이 “부처님 법대로 살자”고 서원하며 시작한 봉암사 결사가 60년을 지나 새로운 결사운동으로 선양되고 있다. 조계종은 지난 19일 종립특별선원 문경 봉암사에서 ‘봉암사 결사 60주년 기념대법회’를 봉행했다.
1만여 사부대중 운집…“수행의 생활화” 선언

이날 법회는 단순한 기념의 의미를 넘어, 현재 한국불교가 처하고 있는 위상 하락과 외부로부터의 여러 의심들을 스스로 발로참회하며 ‘결사운동’을 통한 수행정진 풍토의 고양으로 자정하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담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이날 법회 직전 갑작스럽게 쏟아진 빗줄기도 ‘제2의 봉암사 결사’를 맺어 불교를 바로 세우겠다는 사부대중의 원력을 잠재우지는 못했다.
<사진> 19일 문경 봉암사에서 열린 봉암사 결사 60주년 기념대법회. 비가 내렸지만 여법하게 봉행됐다. 김형주기자
이날 법회에는 한국불교의 미래가 달려있다는 간절한 염원을 반영하듯, 사부대중 1만여 명이 경내를 가득 메웠다. 법전 종정예하를 비롯해, 원로의원 원명 도문 정무 고우스님, 총무원장 지관스님 등 60년 전 봉암사 결사에 함께 했던 어른스님들이 참석해 후학과 신도들에게 결사 의지를 보여줬다. 이밖에 중앙종회 의장 자승스님, 각 교구본사 주지스님, 종회의원 스님 등 중진 스님들도 대거 참석했다.
“석가모니불” 정근으로 시작한 법회는 명종 5타와 헌향으로 이어졌다. 봉암사 주지 함현스님이 봉암사 결사 경과보고를, 봉암사 선원장 정광스님이 봉암사 결사 동참 대중스님들의 청규가 담긴 ‘공주규약’을 낭독하자 사부대중의 ‘결사 정신 계승’ 분위기는 한껏 고양됐다.
총무원장 지관스님은 “여러 내우외환을 겪으며 수행가풍을 의심받는 상황에 이른 현 세태에서 우리는 새로운 결사를 시작해야 한다”며 “그것이 인천(人天)의 사표로서 바른 수행자가 되는 길이며 불교를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말했다. 또 지관스님은 “성성적적한 모습의 불교, 추상같은 계율과 수행 가풍을 이어가는 종단을 만들어야 한다”며 “오늘의 불교를 새롭게 만드는 새로운 결사운동을 조직하는 날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법회는 전국선언수좌회 선림위원 혜국스님의 선언문과 선원수좌회 의장 영진스님의 참회문 낭독으로 더욱 여법하게 진행됐다. 특히 선언문은 ‘공주규약’에 버금가는 사부대중의 3대 실천지침을 제시하며 “본분에 충실하고 수행을 생활화하고 사회화하자”고 다짐하는 시간이 됐다. 참여 대중들은 부처님 앞에서 선채로 합장 반배하며 참회하며 “수행종풍을 진작하고 불자와 국민들로부터 믿음과 존경을 받는 구도자가 되겠다”는 원력을 다시금 확인했다.
법전 종정예하는 법어를 통해 “여기 모인 대중은 역순을 자제하는 기틀로 곧은 것과 굽은 것을 모두 놓아버리면 시방의 종지가 한 곳에 모일 것이요, 정과 사의 시비가 원융을 이룰 것”이라고 법문하며 사부대중 모두 뜻을 모아 깨달음을 이루고 불국정토를 건설해줄 것을 당부했다.
법회가 끝날 때까지도 비는 그치지 않았다. 하지만 불자들은 비온 뒤 땅이 더욱 굳어지며 궂은 날씨 후에는 해가 뜬다는 진리를 알 듯 이번 법회 이후로 한국불교가 희망찬 앞날을 맞이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환희가 얼굴에 가득했다.
문경=김하영 기자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